
올해 기업 5곳 중 1곳이 직원을 줄인 것으로 조사됐다.
2일 인크루트와 알바콜이 '2019 직장인 구조조정 잔혹사'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참여 기업 814곳 중 올해 구조조정이 있었다고 답한 비율은 21%였다.
기업규모별로는 △대기업 33% △중견기업 25% △중소기업 20% △영세기업 15% 순으로 나타났다.
감원 시기를 분기별로 보면 △1분기 19% △2분기 20% △3분기 22% △'4분기 16% 등으로 집계됐다. 또 '상시'로 실시된다는 응답도 22%에 달했다.
감원 규모는 '작년보다 늘었다'고 답한 비율이 42%로 집계됐다. 이는 '비슷'(24%) 또는 '적었다'(9%)는 비율보다 월등히 높아 올 한해 구조조정이 이루어진 것이다.
기업들은 구조조정에 나서는 이유로 '업황, 경기 침체로경영난 심화'(21%·복수응답)를 가장 많이 꼽았다. 이어 △조직재정비(19%) △경영 효율화 차원(13%) △목표 미달성에 대한 책임 부과(8%) △상시적인 희망퇴직 진행(7%) △신규채용 진행을 위한 기존직원 해고ㆍ최저임금 인상 영향(각 6%) 등의 순이었다.
구조조정 대상으로는 '희망 퇴직자'가 1순위에 올랐다. 또 '저성과자'ㆍ'정년임박 근로자'(각 20%), '근무태만 근로자'(13%), '고액연봉자'(11%) 등도 구조조정 대상에 올랐다. 나간다는 사람 안 붙잡고, 성과는 낮을수록, 연령과 연봉은 높을수록 기업들의 데스노트에 이름이 오르고 있던 것이다.
이번 설문조사는 지난달 27~29일까지 기업회원 814명이 참여했다. 95%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±3.34%이다.